한랭 두드러기 원인, 증상, 치료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랭 두드러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볼 건데요
한랭 두드러기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한랭 두드러기 원인
원인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1. 추위에 노출되어 갑작스런 온도 변화가 있는 경우 한랭 글로불린, 한랭 응집소 등
한랭 관련 물질이나 특이한 면역 글로불린 E가 체내에서 불필요하게 면역 반응을 일으켜서 피부에 두드러기가 생깁니다
즉,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거나 추운 날씨에 노출될 경우 두드러기 유발 물질이 분비되어
두드러기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2. 또한 B형 또는 C형 간염과 동반되는 차가운 것에 대한 적혈구의 자가항체반응인
한랭 글로불린 혈증, 백혈병, 감염성 단핵구증 후에 생길 수 있습니다
3. 매독, 수두, 홍역, 수두, 등의 감염 후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이 밖에도 호르몬 조절 이상, 자율 신경계 조절 이상, 편도선염, 인후염 등
세균 감염 후유증이나 소염 진통제, 항경련제 등 약물 후유증으로도
한랭 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랭 두드러기 증상
한랭 두드러기는 찬 공기나 찬물 같은 차가운 물질이 피부에 닿으면 그 부위에
가려움증이 생기고 피부가 붉게 변합니다. 찬 공기에 노출되어서 체온이 떨어지거나
수영이나 냉수욕으로 전신이 갑자기 찬 물질에 노출되면 전신 가려움증
뿐만 아니라 호흡 곤란 및 쇼크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가운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을 섭취한 후 혀와 후두의 점막이 부어올라서 호흡 곤란이 올 수도 있습니다.
한랭 두드러기 치료법
한랭 두드러기는 근본적 치료방법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추위에 대한 노출을 피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용량의 항히스타민제보다
고용량의 항히스타민제가 더 효과가 있으며 몇가지의 다른 항히스타민제를 혼합 복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이 매일 발생할 정도로 심하거나 겨울에 어쩔 수 없이 매일 찬 공기에 노출이 된다면 예방적으로 매일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부작용이 매우 적은 약제이므로 대부분의 경우 안전하게 장기적으로 복용해도 됩니다. 고용량 항히스타민제에 반응이 없으면 혈관염이 동반된 한랭 두드러기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부신피질 호르몬 등의 면역억제제 등이 일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